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서울 강남역 근처 남녀 공용 화장실에서 일어난 '강남역 살인 사건'. 8년이 지났습니다, <br> <br>공용 화장실, 지금은 얼마나 달라졌을까요. <br> <br>김승희 기자가 다시 가봤습니다. <br><br>[기자]<br>황급히 계단을 내려오는 남성. <br><br>잠시 후 여성이 들것에 실려 나옵니다. <br> <br>지난 2016년 남녀 공용화장실에 숨어있던 30대 남성이 일면식 없던 20대 여성을 살해한 '강남역 살인 사건'입니다. <br> <br>사건 현장을 다시 가봤습니다. <br><br>사건이 벌어졌던 건물은 허물어지고 지금은 신축 공사가 한창입니다. <br><br>사건 장소에서 200여 미터 떨어진 5층 빌딩의 화장실, 남녀 공간의 경계는 달랑 커튼 한 장입니다. <br> <br>[신민향 / 한국화장실문화협회 이사] <br>"의미가 없어진 문이 돼버린 거죠. 한쪽 문하고 이쪽 문하고 부딪히니까. 그래서 아마 커튼을 대신…" <br><br>강남역 살인 사건 이후 남녀 화장실 분리가 의무화됐지만, 연면적 2천㎡ 미만 건물은 적용 대상에서 빠졌습니다. <br><br>화장실 입구에는 이렇게 안쪽에 비상벨이 설치돼있다고 쓰여 있습니다. <br> <br>그런데 막상 들어가보면 여자 쪽에는 비상벨이 어디에도 없고요. <br> <br>그나마 남자화장실에 있던 비상벨도 떼어진 후 흔적만 남아있습니다.<br><br>화장실 7곳 중 6곳이 남녀 공용인 신논현역 먹자골목. <br><br>업주들은 나름의 자구책을 설명합니다. <br> <br>[A 씨 / 인근 가게 주인] <br>"여자 손님들 같은 경우는 특히 일행하고 같이 가라고 하고." <br> <br>[B 씨 / 인근 가게 주인] <br>"(화장실) 출입구를 오픈을 시켜놨잖아요. 사고가 일어날까 봐." <br> <br>하지만 불안감을 털어내기에는 모자랍니다. <br> <br>[차희진 / 서울 노원구] <br>"문 열었는데 안에 남자분이 있으셔서 놀라서 문 닫고 다른 화장실 찾고." <br> <br>[김민경 / 경기 안양시] <br>"문고리가 고장 났거나. 술 취한 사람들 있었을 때 무서웠던…" <br><br>서울시는 안심 화장실을 만들기 위해 공사비 지원에 나섰지만, 5년간 54곳만 신청했습니다. <br> <br>[서울시 관계자] <br>"건물주 승인을 받아야 되고. 오래된 건물이어서 사실은 분리를 할 수 있을 만큼 여력이 안 되는…" <br> <br>가장 안심하고 안전해야 하는 화장실,<br><br>8년 전과 달라진 건 사라진 사건 현장 뿐이었습니다. <br> <br>다시 간다 김승희입니다. <br> <br>PD: 홍주형 <br>AD: 김승규 <br>작가: 김예솔<br /><br /><br />김승희 기자 sooni@ichannela.com